본문 바로가기
경제pot

물가에 대하여

by jspot 2023. 12. 13.

오늘은 물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요즈음 뉴스에서 자주 오르내리는 단어가 바로 물가 입니다.

주로 물가 상승에 대한 뉴스가 많지요.

물가란 쉽게 말해서 물건 혹은 서비스의 가격을 말합니다.

물가가 오르면 영어로 inflation

반대로 물가가 내리면 영어로 deflation이 됩니다.

 

 

뉴스에 이달 물가상승률이 3%다 혹은 몇%다 해서 자주 나오는 단어입니다.

물가는 한 나라의 경제가 성장한다면 대체적으로 오르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물가의 급격한 상승은 화폐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가난한 사람들의 구매력을 약화시키는 폐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점진적이고 안정적인 물가 상승이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도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물가변동의 원인은 수요의 급증, 비용의 상승,

통화 정책의 변동, 지정학적 이유 등 매우 다양합니다.

 

지난 1~2년간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과 확장적 통화정책 등으로

물가가 많이 오르기도 했었습니다.

 

물가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수로 표시하기도 합니다.

소비자 물가지수

생산자 물가지수

등이 있습니다.

 

소비자 물가지수는 CPI라고도 하는데요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서비스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통계청에서 조사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데요,

서울특별시,6개 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 등에 있는 

백화점,할인점,재래시장 3곳의 물가를 조사하여 가중평균 합니다.

 

미국에서는 노동부가 조사 및 발표합니다.

주식하시는 분들은 미국의 CPI발표를 항상 긴장하며 주시하기도 하죠.

 

생산자 물가지수는 PPI라고도 합니다.

이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서비스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이 지수역시 각 국에서 일정 주기별로 발표하는 아주 중요한 인플레이션 선행지표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말씀드렸었는데요

인플레이션은 한 국가의 흥망성쇠를 자극하는 아주 중요한 현상입니다.

따라서 이 현상을 미리 가늠해 볼수 있는 물가지수도 역시 아주 중요한 지표라고 할수 있습니다.

 

경제를 공부하고 주식을 하시는 분이라면

매월 발표되는 물가지수에 관심을 가지고

모니터링 해 보시는 것도 좋을 공부가 될 것입니다.

오늘은 물가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p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급  (1) 2023.12.15
수요  (0) 2023.12.14
화폐에 대하여  (0) 2023.12.11
금리  (2) 2023.12.07
경제를 쉽게  (0) 202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