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pot/주식30

코스피 기업공개(ipo)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스피의 역대 기업공개 기업들중 대형기업의 기업공개 역사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코스피에 상장하려면 꽤나 빡빡한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기업공개를 하려는 해당기업은 설립된지 3년은 지나야 합니다. 또한 계속적인 영업이 가능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습니다. 자기자본 또한 100억 이상이어야 하며 상장하려는 주식의 총 수도 100만주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매출액 기준도 있는데요 최근 3개년의 연도별 평균 매출액이 200억 이상이고 최근의 사업년도에는 300억 이상이어야 합니다. 또한 소액 주주가 보유한 주식총수 와 의결권이 있는 주식총수가 상장 신청일 기준 발행가능한 주식 총수의 30%이상이어야 한다는 기준조 있습니다. 꽤나 까다로운 편이죠 이러한 기준을 모두 충족하게 되면 .. 2024. 2. 21.
기업공개(ipo)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업공개(ipo)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업공개는 영어로 하면 Initial Public Offering입니다. 줄여서 ipo라고하는 용어로 잘 알려져 있죠 그 의미는 기업이 사업을 더욱 확장하기 위하여 자금이 필요할 때 외부인들에게 신주를 발행하여 공개적으로 투자자를 모집하는 것 입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기업을 주식시장에 상장시키는 것 입니다. 증권거래소를 통해 주식시장에 상장시키면 기업광고 효과로 인해 대규모의 투자자가 모집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그렇게 되면 자연히 대규모의 투자 자금을 유치할 수 있게 되죠 기업공개의 절차는 먼저 증권거래소에 사전협의를 거친 이후에 상장을 주관하는 증권사를 선정하여 증권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하면 됩니다. 상장예비심사를.. 2024. 2. 19.
무상증자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무상증자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업의 자본금을 증자하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유상증자 그리고 무상증자 입니다. 유상증자는 지난 포스팅에서 두번에 걸쳐서 알아보았고 오늘은 나머지 한 방법인 무상증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상증자는 새로운 자본금의 납입은 없습니다. 단순히 재무상태표상에서 자본을 변동시켜서 자본금을 늘리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냥 형식적인 증자라고도 합니다. 무상증자를 하게되면 당연히 유통되는 주식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대한민국 증시에서는 유상증자를 한다고 하면 호재라고 생각이 되어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위에 언급했듯이 무상증자를 완료하는 시점에서는 유통주식수의 증가로 주가가 반대로 떨어지는 현상을 보이곤 합니다. 유.. 2024. 2. 16.
유상증자에 대하여-1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유상증자에 관해 조금더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주주배정방식의 유상증자에 대해서 말씀 드렸습니다. 이익이 성장하는 기업은 유상증자를 하건 무슨짓을 하건 좋다! 라는 것이 핵심입니다. 물론 훌륭한 경영자등 다른 여러가지 조건도 필요 합니다. 이제 본론으로 다시 돌아가면 일반공모방식의 유상증자 그리고 제3자배정방식의 유상증자가 있습니다. 일반공모방식의 유상증자는 기업공개 하듯이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유증을 진행하는 것 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기존 주식의 유통수량이 늘어나 기존 주주의 주주가치가 희석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의 유상증자는 기존의 주주나 제3의 투자자가 발행하는 신주를 사주지 않을 것 같을때 시행하는 방식입니다. 즉 회.. 2024.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