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po3

코스피 기업공개(ipo)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스피의 역대 기업공개 기업들중 대형기업의 기업공개 역사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코스피에 상장하려면 꽤나 빡빡한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기업공개를 하려는 해당기업은 설립된지 3년은 지나야 합니다. 또한 계속적인 영업이 가능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습니다. 자기자본 또한 100억 이상이어야 하며 상장하려는 주식의 총 수도 100만주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매출액 기준도 있는데요 최근 3개년의 연도별 평균 매출액이 200억 이상이고 최근의 사업년도에는 300억 이상이어야 합니다. 또한 소액 주주가 보유한 주식총수 와 의결권이 있는 주식총수가 상장 신청일 기준 발행가능한 주식 총수의 30%이상이어야 한다는 기준조 있습니다. 꽤나 까다로운 편이죠 이러한 기준을 모두 충족하게 되면 .. 2024. 2. 21.
기업공개(ipo)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업공개(ipo)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업공개는 영어로 하면 Initial Public Offering입니다. 줄여서 ipo라고하는 용어로 잘 알려져 있죠 그 의미는 기업이 사업을 더욱 확장하기 위하여 자금이 필요할 때 외부인들에게 신주를 발행하여 공개적으로 투자자를 모집하는 것 입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기업을 주식시장에 상장시키는 것 입니다. 증권거래소를 통해 주식시장에 상장시키면 기업광고 효과로 인해 대규모의 투자자가 모집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그렇게 되면 자연히 대규모의 투자 자금을 유치할 수 있게 되죠 기업공개의 절차는 먼저 증권거래소에 사전협의를 거친 이후에 상장을 주관하는 증권사를 선정하여 증권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하면 됩니다. 상장예비심사를.. 2024. 2. 19.
유상증자에 대하여-1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유상증자에 관해 조금더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주주배정방식의 유상증자에 대해서 말씀 드렸습니다. 이익이 성장하는 기업은 유상증자를 하건 무슨짓을 하건 좋다! 라는 것이 핵심입니다. 물론 훌륭한 경영자등 다른 여러가지 조건도 필요 합니다. 이제 본론으로 다시 돌아가면 일반공모방식의 유상증자 그리고 제3자배정방식의 유상증자가 있습니다. 일반공모방식의 유상증자는 기업공개 하듯이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유증을 진행하는 것 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기존 주식의 유통수량이 늘어나 기존 주주의 주주가치가 희석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의 유상증자는 기존의 주주나 제3의 투자자가 발행하는 신주를 사주지 않을 것 같을때 시행하는 방식입니다. 즉 회.. 2024.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