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방준비제도는 줄여서 흔히들 연준이라고 부르곤 하는데요
이전 포스팅에서 한국은행에 대해서 알아 보았으니
미국의 중앙은행에 해당하는 연방준비제도에 대해서도 알아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연방준비제도는 미국의 중앙은행에 해당하지만
전 세계 금융경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역할은 역시 통화정책 수립입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라고 해서 영어 약자로
FOMC라고 하는데 많이들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통하여 지급준비율
즉 기준금리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연방준비제도는 12개의 연방준비은행과 연방정부내에서의
연방준비제도 이사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2개의 연방준비은행은
미국을 12개의 연방구로 나누어 설치된 각 지역의 연방준비은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2개의 연방구는
필라델피아,보스턴,클리브랜드,뉴욕,리치몬드,시카고,애틀란타,미니아폴리스,세인트루이스
캔자스시티,댈러스,샌프란시스코 입니다.
이중 가장 중요한 지점은 역시 금융기관들이 집중되어 있는 뉴욕의 지역 연방준비은행 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즉 FOMC는
연간 8번에 걸친 회합을 갖고 통화정책의 방향을 여기에서 결정합니다.
대한민국과 비교한다면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죠
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총 12명의 위원으로 구성이 됩니다.
연방준비제도 이사회의 7명과 각 지역의 연방은행 총재 5명으로 이루어집니다.
지역 연방은행 총재 중 뉴욕연방은행 총재는 당연직으로 필수 참석하고
나머지 4명은 11개 연방구 지역은행들 중에서 선축하여 1년씩 교대로 참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의장은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이 맡고
부의장은 뉴욕의 연방은행 총재가 맡게 됩니다.
여기에서 많이 언급되는 것이 매파,비둘기파 등등의 이야기들인데요
매파란 통화정책 결정시 물가 및 경기 안정을 중시하여 긴축을 선호하는 파이고
비둘기파란 고용과 경기부양을 강조하는 완화를 선호하는 쪽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뉴스에서 많이들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또한 점도표라는 말들도 많이 들어보셨을 것인데요
이는 미국의 연방준비제도 이사회가 매 분기 발표하는 도표로
18명의 의원들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 들어가기전에
각자가 생각하는 금리의 인상시기와 폭을 기록하여
취합한 표입니다.
향후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금리 조정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오늘은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경제분야는 알면 알수록 생소한 용어들이 너무 많이 나옵니다.
꾸준히 공부를 해야하는 이유이지요
고맙습니다.
'경제p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S에 대하여-1 (67) | 2024.02.26 |
---|---|
ELS에 대하여 (54) | 2024.02.23 |
기축통화에 대하여 (0) | 2024.01.18 |
한국은행에 대하여 (4) | 2024.01.16 |
금융감독원에 대하여 (4)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