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락2 무상증자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무상증자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업의 자본금을 증자하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유상증자 그리고 무상증자 입니다. 유상증자는 지난 포스팅에서 두번에 걸쳐서 알아보았고 오늘은 나머지 한 방법인 무상증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상증자는 새로운 자본금의 납입은 없습니다. 단순히 재무상태표상에서 자본을 변동시켜서 자본금을 늘리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냥 형식적인 증자라고도 합니다. 무상증자를 하게되면 당연히 유통되는 주식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대한민국 증시에서는 유상증자를 한다고 하면 호재라고 생각이 되어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위에 언급했듯이 무상증자를 완료하는 시점에서는 유통주식수의 증가로 주가가 반대로 떨어지는 현상을 보이곤 합니다. 유.. 2024. 2. 16. 23년 연말 주식일정 안녕하세요, 오늘은 크리스마스입니다. 즐거운 23년도 크리스마스가 되시길 바라면서 오늘은 23년도 연말 증시 일정에 대해서 짧게 알아보겠습니다. 26일은 정상 영업일입니다. 대부분의 기업이 배당을 결정하게 되는 배당 기준일이 됩니다. 즉, 26일에 특정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해당 기업의 배당금을 받을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대주주 과세기준이 10억에서 50억으로 상향되었기에 올해에는 해당사항이 많지는 않지만 원래 과세기준이 10억 이었다면 아마도 내일 26일에는 대주주 과세를 피하려는 차익 매물이 꽤나 많이 나왔을 것입니다. 개인 투자자 중에서 주식 보유액이 많은 분들이 대주주가 되지 않기 위해서 회피 매물을 다량으로 내놓는 경우가 매년 연례행사처럼 반복되어 왔기 때문입니다. 작년에도 대주주 과.. 2023. 12.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