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증자에 대하여-1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유상증자에 관해 조금더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주주배정방식의 유상증자에 대해서 말씀 드렸습니다.
이익이 성장하는 기업은 유상증자를 하건 무슨짓을 하건
좋다! 라는 것이 핵심입니다.
물론 훌륭한 경영자등 다른 여러가지 조건도 필요 합니다.
이제 본론으로 다시 돌아가면
일반공모방식의 유상증자 그리고 제3자배정방식의 유상증자가 있습니다.
일반공모방식의 유상증자는
기업공개 하듯이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유증을 진행하는 것 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기존 주식의 유통수량이 늘어나
기존 주주의 주주가치가 희석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의 유상증자는 기존의 주주나 제3의 투자자가
발행하는 신주를 사주지 않을 것 같을때 시행하는 방식입니다.
즉 회사의 미래 성장성이 좋지 않아서 기존 주주들에게 신뢰를 잃어버렸다고 볼 수 있는 것이죠
그러나 기업공개 즉ipo와는 다르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ipo는 신규로 주식시장에 진입하는 유망기업이
기업공개를 통해 자금을 동원해 투자를 확대해가는 과정입니다.
기업공개에 대해서도 드릴 말씀이 좀 있으니 차후에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또다른 유상증자의 방법으로는 제3자 배정방식의 유상증자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경영진이 특정 제3자를 지정하여 유상증자를 하는 것입니다.
제3자 배정방식의 유상증자 또한 기업가치에 별로 좋지않은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존 주주를 통한 유상증자나 기타의 방법이 잘 통하지 않을경우
경영진이 제3자를 찾고 찾아서 데려오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주식투자를 하다보면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유상증자를 한다는 것은 매우 안좋은 소식이라 생각하셔야 합니다.
성장하는 섹터에 있는 경쟁력있는 기업의 유상증자는 호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돈도 잘벌고 있고 경쟁력이 있는 기업은 유상증자도 잘 하지 않습니다.
버는 돈을 적극적으로 재투자 하는 것이죠
따라서 오늘의 주제는 유상증자 이기는 합니다만은
우리가 주식투자를 할때는 유상증자에 관심을 기울이기 이전에
무조건 성장하는 섹터의 일등주식에 집중해야 합니다.
평소 경제를 공부할때도 장기적으로 성장하는 섹터를 찾으려고 노력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그 섹터에서 가장 경쟁력있는 기업을 찾는 노력을 하셔야 합니다.
그것이 장기적으로 주식투자를 통해 부를 늘리고
노후의 생활을 좀더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는 가장 빠른 길이 됩니다.
워렌버핏 형님도 말씀하셨죠
"위대한 기업을 적당한 가격에 사서 별일 없으면 평생가져가라"
짧은 말이지만 주식투자의 모든것을 함축하는 말입니다.
이 말의 의미를 정말 열심히 곱씹고 되뇌여야 하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